주식/미국 주식

골드만삭스 주가 전망 및 매수 타이밍 (feat. 저평가주 찾는 방법, PER, PEG)

디케이 2021. 1. 22. 21:07
반응형

골드만삭스는 기업, 금융기관, 정부, 고액순자산보유자를 포함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투자금융, 증권, 투자관리 회사이다. 1월 19일을 시작으로 많은 금융회사들이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를 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등 많은 회사들이 2020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은 골드만삭스의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이다. 

 

1월 19일에 발표한 골드만삭스(GS)의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는 많은 이들의 예상을 뛰어넘으며 순이익이 2배나 급증했다. 

 

 

finance.yahoo.com 골드만삭스의 Earnings History

위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2020년 1분기와 2분기는 예상치 못한 코로나의 여파로 상대적은 낮은 EPS(주당순이익)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3분기에 들어서서 주당순이익이 8.98이 되었으면 4분기에는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12.08 주당순이익을 기록하게 된다. 비록 코로나 19 사태가 완전히 진정되지 않았지만 골드만삭스는 2020년 한 해 동안 놀라운 순이익을 기록했다. 많은 요인들이 있었겠지만 역대 가장 많은 IPO가 이루어지고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찍는 호황이 이러한 실적을 가능하게 했다. 

 


미국 증시와 한국 증시 모두 다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많은 기업들은 주가의 최고점을 경신하고 있는 가운데 저평가된 기업이 과연 있을까?

 

어떤 특정 기업이 저평가되었다고 섣불리 판단을 하기 전에 "저평가"라고 판단하는 기준을 먼저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 사용할 "저평가" 판단 기준은 가장 성공한 펀드매니저이자 세계 최대 뮤추얼 펀드인 마젤란 펀드를 키운 피터 린치가 흔히 사용한 PEG (주가수익성장비율)이다. 

 

PER과 PEG 계산법과 자세한 사용법은 아래 주소를 참고하길 바란다. 

 

PER & PEG로 매력적인 저평가주 찾기 (feat. 피터 린치)

대부분의 사람들은 흔히 PER의 숫자를 보고 섣불리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판단을 해 버린다. 하지만 단순히 어떠한 종목의 PER이 높다고 고평가라고 판단하는 것은 상당한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diketakastocks.tistory.com

 

 

finance.yahoo.com 골드만삭스 PER [1월 22일 기준]

 

골드만삭스의 현재 PER (P/E)는 1월 22일 기준 11.70 이다.

그리고 주가수익성장비율 (PEG)를 계산하면 0.72 이가 된다. 

즉, 0.72 이가 0.5와 1 사이에 있는 값으로 매수 신호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PEG 방법으로는 매수 신호가 될 수 있어도 기업의 잉여현금흐름 창출 능력 등 기업의 여러 가지 다른 정보들도 확인을 해야 한다. 따라서 단순히 이 글만 보고 섣불리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투자자는 신중하게 다른 요소들도 고려를 하며 투자를 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이 글을 절대로 매매 유도를 하려는 목적이 아니기에 모든 매매 판단은 전적으로 투자자의 책임이다. 

 

 

finance.yahoo.com 골드만삭스 성장률

위의 자료는 finance.yahoo.com에서 발표한 골드만삭스의 성장률이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번 분기 (Current Qtr.)와 다음 분기 (Next Qtr.)의 성장률이다. 135%와 1241.5%는 상당히 큰 성장률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에 골드만삭스의 앞으로 어떠한 소식이 있을지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스타벅스 커피로 미국 주식 초보 탈출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스타벅스 커피로 미국 주식 초보 탈출하기

미국 주식이 처음이거나 아직까지도 아무런 매매 규칙 없이 일시적인 감정 또는 분위기에 따라 매매한다면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직접 기업을 분석하고 매매 기준을 잡는 습관

diketakastocks.tistory.com

 

[미국 주식]

엔비디아 (Nvidia) 기업 분석 이해하기 

비자 (Visa) 기업 분석 이해하기

스노우플레이크 (Snowflake) 기업 분석 이해하기 

애플 (Apple) 기업 분석 이해하기 

알파벳, 구글 (Google) 기업 분석 이해하기 

 

 

 

인스타그램: @diketaka_asset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danielkim0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