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282

셀트리온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

#셀트리온 (Celltrion) 기업 개요: - 생명공학기술 및 동물세포 대량 배양기술을 기반으로 항암제 등 각종 단백질 치료제 개발 / 생산하는 업체 - [2021년 2월 1일 기준] 시가총액 9위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셀트리온을 비롯해 셀트리온헬스케어와 셀트리온제약은 많은 주목을 받았다 셀트리온 재무제표 분석: 우선적으로 셀트리온의 재무제표를 살펴보자. 2021년 2월 1일 기준으로 현재 발표된 것은 2020년 3분기 실적이다. 초록색 형광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숫자들을 주목해 보자. 2020년 3분기 실적에서 매출은 전년 동기 비해 89.9%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37.8% 증가를 하며 매우 좋은 결과를 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곧 있으면 발표할 2020년 4분기 실적도 기대하게 되는..

2월 미국 주요 기업 배당락일 (Ex-Dividend Date)

2월 4일 (목요일) 인텔 (INTC) 코스트코 (COST) 2월 5일 (금요일) 애플 (AAPL) 2월 9일 (화요일) 엑슨모빌 (XOM) IBM (IBM) 2월 11일 (목요일) 엘리 릴리 앤 컴퍼니 (LLY) 암젠 (AMGN) 2월 16일 (화요일) 타깃 코퍼레이션 (TGT) 2월 17일 (수요일) 마이크로소프트 (MSFT) 스타벅스 (SBUX) 2월 22일 (월요일) 존슨앤드존슨 (JNJ) 2월 24일 (수요일)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AMAT) 2월 26일 (금요일) 맥도날드 (MCD) 그렇다면 언제까지 매수를 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을까? 미국 주식은 배당락일 (ex-dividend date) 전일까지 매수하면 배당 참여가 가능하다. 즉, 2월 5일이 배당락일이면, 2월 4일 장마감 전까지만..

금리와 주식 시장의 관계 / 금리가 오르면 주식은 내려간다?

흔히들 금리가 올라가기 시작하는 것을 주식 시장의 하락하는 신호로 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단순히 금리의 상승을 주식 시장의 하락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일까? 우선 금리의 정의를 살펴보자. 네이버 백과사전은 금리를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를 비율로 표시한 것"으로 정의를 한다. 즉, 금리를 같은 의미로 '이자율'이라고 표현을 할 수 있다. 금리를 이해할 때 많은 사람들은 금리가 상승하면 소비보다 저축을 하고, 금리가 하락하면 저축보다 소비한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금리의 움직임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더 다양하다. 다양한 시나리오가 있겠지만 그중에서 몇 가지만 살펴본다면... 금리가 오르면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투자를 줄이고, 반대로 금리가 내려가면 기업은 더 적극적으로 ..

경제 공부 2021.01.31

엔비디아 (NVIDIA) 기업 분석 및 재무제표

이전 글에서 엔비디아 (NVIDIA)가 4차 산업혁명을 가장 잘 준비하고 있는 기업으로 소개를 했다. 엔비디아의 주가 전망은 아래의 주소를 참고하길 바란다. https://blog.naver.com/danielkim030/222221435681 엔비디아 (NVIDIA) 주가 전망 (feat. 미래 책임질 기업) 흔히들 테슬라가 급격하게 상승한 것을 보고 왜 자신들은 진작에 사지 않았을까 후회를 한다. 하지만 그렇... blog.naver.com 그렇다면 이번에는 엔비디아의 사업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 ​ 위의 표는 엔비디아에서 공개한 재무제표이다. 우선 2020년 3분기 실적에서 매출 (Revenue) $4,726,000,000 임을 알 수 있고 2019년 3분기 매출 (Revenue) ..

엔비디아 (NVIDIA) 주가 전망 (feat. 미래 책임질 기업)

흔히들 테슬라가 급격하게 상승한 것을 보고 왜 자신들은 진작에 사지 않았을까 후회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후회하는 사람들은 테슬라를 진작에 알았더라도 과연 테슬라에 투자를 했을까? 결국 테슬라에 투자를 한 사람들은 테슬라의 가치와 성장성을 알아본 사람들이다. 즉, 주가가 상승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소는 기업의 가치와 성장성인 것이다. ​ 우리는 더 이상 테슬라를 진작에 사지 못했다고 후회할 필요가 없다. 이제부터 기업의 가치와 성장성을 보고 앞으로 미래에 크게 영향을 미칠 기업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앞으로의 미래를 내다보기 전에 인류가 걸어온 역사부터 살펴보자. ​ 제 1차 산업혁명: 증기기관 기반의 기계화 혁명 제 2차 산업혁명: 전기 에너지 기반의 대량생산 혁명 제 3차 산업혁명: 컴퓨터와..

비자 (Visa)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코로나 19의 여파로 많은 기업들이 타격을 입었음을 알 수 있다. 현시점에서 백신이 어느 정도 보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장 큰 관건은 기업들이 이제 얼마나 빨리 회복을 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 흔히들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 항공 관련주들이 다시 오를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항공 관련주 말고도 코로나가 잠잠해지면 크게 오를 잠재력을 보이는 기업이 있다. 그것이 바로 비자(Visa)이다. 미국 주식을 안 하더라도 비자라는 기업을 알 것이다. 비자는 전 세계 국제 신용결제의 60% 가량을 점유하고 있을 정도로 신용카드의 대표주자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번에 비자가 공개한 공시 자료를 살펴보자. 우선 많은 내용이 있지만 초록색 형광팬으로 그어져 있는 정보를 살펴보자. 우선적으로 ..

미국 상업 은행과 투자 은행의 차이점 (feat. 뱅크오브아메리카 & 골드만삭스)

한국에서는 생소한 개념일 수 있지만 미국의 은행은 크게 상업 은행과 투자 은행으로 나뉜다. 상업은행 (예: 뱅크오브아메리카) 개인이나 기업을 상대로 예금을 받고 개인과 기업에게 단기대출을 제공함으로써 대출로 받은 이자에서 예금에 지불한 이자를 뺀 예대마진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은행이다. 상업은행의 주요 수입원은 예금과 대출이자의 차이에서 오는 예대마진이다. 따라서 금리가 높을 때는 좋지만 금리가 낮을 때는 예대마진이 줄어서 이익이 감소한다. 투자은행 (예: 골드만삭스) 장기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을 투자자에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증권 + 자산운용의 성향을 띤다. 투자은행은 트레이딩 부분과 자산 운용 부분에서 이윤을 남기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활발할 때 이익이 증가한다. 그렇다면 원래부터 미국은 ..

사업보고서, 재무제표 보는 법 (feat. 기업 공시 사이트 '다트')

주식 열풍이 불면서 수많은 주식 관련 정보들을 접하게 된다. 하지만 정보들이 수 없이 많으니 처음 주식을 하는 사람이나 주식 초보인 사람들은 정작 무엇을 해야 되는지 모른다.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다 보니 소위 말하는 "대박주 추천" 또는 "비밀 종목"에 솔깃하며 정작 올바른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투기를 하게 된다. 그렇다면 주식을 처음 시작하거나 초보인 주린이들은 무엇부터 배워야 할까? 바로 기업 공시 사이트인 "다트"에서 사업보고서를 보는 방법을 배워 건전한 주식 투자 방법을 배워야 한다. 가장 먼저해야 하는 것은 금융감독원 전자 공시 시스템인 (dart.fss.or.kr)에 접속하는 것이다. 사이트에 접속을 한 후 투자하고자 하는 회사명을 입력한다. 회사명을 입력을 한 후 정기 공시를 클릭하여 ..

골드만삭스 주가 전망 및 매수 타이밍 (feat. 저평가주 찾는 방법, PER, PEG)

골드만삭스는 기업, 금융기관, 정부, 고액순자산보유자를 포함한 전 세계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투자금융, 증권, 투자관리 회사이다. 1월 19일을 시작으로 많은 금융회사들이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를 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등 많은 회사들이 2020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지만 가장 주목을 받았던 것은 골드만삭스의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이다. 1월 19일에 발표한 골드만삭스(GS)의 2020년 4분기 실적 발표는 많은 이들의 예상을 뛰어넘으며 순이익이 2배나 급증했다. 위의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2020년 1분기와 2분기는 예상치 못한 코로나의 여파로 상대적은 낮은 EPS(주당순이익)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3분기에 들어서서 주당순이익이 8.98이 되었으면 4분기에는..

바이든 행정부의 미국 경제 정책 전망 (feat. 바이드노믹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코로나의 빠른 전파력과 장기화로 인해 전 세계 경제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또한 이러한 어려움에서 쉽게 빠져나오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2020년 미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고용·소비시장 또한 위태로운 상황이다. 어떻게 보면 바이든 경제팀은 가장 다사다난한 시점에서 임기를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바이드노믹스의 주요 경제 정책에 대해 살펴보자. 1. 역대급 돈 풀기 우선 재무장관인 재닛 옐런은 "크게 움직이는 정부가 되겠다"라고 1호 입장문에서 밝히며 "부채 걱정보단 부양이 먼저"라는 의사 표현을 했다. 이 말은 즉슨 코로나로 인한 경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많은 돈을 쓴다는 것이다. 이러한 '큰 정부' 지향하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