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ER 2

[주식 용어] PER이란?

PER (주가수익비율)이란?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값이다. 다르게 생각을 하면 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이다. 오른쪽 편에 PER 숫자가 188.50배로 나온다. 이 숫자는 현재 주가인 129,500원을 EPS인 687원으로 나누었을 때 나오는 값이다. 우리가 PER을 구할 수 있다 하더라도 숫자가 지닌 의미를 모른다면 소용이 없다. 그렇다면 PER을 어떻게 해석하면 될 것인가? PER를 원금을 회수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으로 볼 수 있다. 만약 PER이 10배라면 투자원금을 10년 만에 회수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PER의 역수가 주식의 기대수익률이다. 따라서 PER이 10배라면 기대수익률은 1/10로 연 10%가 되는 것이다. PER를 이용하여 저평가주를 찾는 방법은 아래를..

PER & PEG로 매력적인 저평가주 찾기 (feat. 피터 린치)

대부분의 사람들은 흔히 PER의 숫자를 보고 섣불리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판단을 해 버린다. 하지만 단순히 어떠한 종목의 PER이 높다고 고평가라고 판단하는 것은 상당한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현실은 이것보다는 더 복잡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글을 다 읽고 난 후에는 더 정확하고 판단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PER (P/E) 우선적으로 PER에 대해 설명을 하자면... PER (P/E) = Price to Earning Ratio의 약자이다. 주가 수익 배수 (P/E Multiple) = 주가 / 주당순이익 (EPS) 보라색으로 형광 되어 있는 숫자들이 결국 위에 적힌 공식에 대입되는 숫자이다. 1월 18일 2021년 애플의 주가는 127.14 달러로 거래가 되고 있고 주당순이익 (EPS)는 3.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