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돈을 많이 벌기를 원하고 경제적 자유를 이루길 원한다.
특히 집에 황금알 낳는 거위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을 해 보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황금알 낳는 거위가 존재하기는 하는 것일까?
개인적으로 황금알 낳는 거위가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바로 잠잘 때도 돈을 벌 수 있는 "패시브인컴"이다.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기 위해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스마트 스토어, 배당주 투자, 전자책 판매, 유튜브 등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수익형 블로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월 200만 원 버는 수익형 블로그 가능?
유튜브 광고나 홍보물에서 수익형 블로그로 월 200만 원을 벌 수 있다는 문구로 많은 사람을 현혹한다.
물론 상위 블로거들은 월 200만 원 혹은 그 이상을 벌 수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월 200만 원을 번다는 것은 수많은 노력과 시간적인 투자 없이는 매우 어렵다.
특히 월 200만 원 등의 과장된 문구를 보고 시작한 사람들은 실제로 이에 못 미치는 수익을 보고 쉽게 낙심하고 포기한다.
하지만 꼭 당부하고 싶은 것은 비록 수익이 크지 않더라도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 구축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다.
지속해서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다 보면 스노우볼 효과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300원이 9만원 되는 방법
수익형 블로그를 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하는 사실은 방문자 수가 수익이 아니라는 점이다.
물론 하루 방문자 수가 많다면 수익을 높아질 확률은 올라갈 수 있지만, 꼭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점이 조회수가 많을수록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유튜브와 다른 점이다.
그렇기에 하루에 200명 방문자가 있더라도 수익이 전혀 없을 수도 있고 하루에 100명 방문자가 있더라도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문자 수가 곧바로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이 수익형 블로그를 하다가 많은 사람을 포기하게 한다.
특히 글을 쓰는데 많은 시간과 정성을 쏟아붓더라도 100원의 수익조차 안 생길 수도 있다.
그렇다면 300원이 8만원 되는 방법은 무엇일까?
우선 하루 방문자 100명이 $0.3 수익이 생긴다고 가정을 해보자.
(온전히 가정이기에 블로그에 따라 수익이 더 많을 수도 또는 더 적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매일 지속해서 100명이 방문한다면 한 달 동안 $0.3 * 30 = $9 버는 것이다.
글을 쓰는 데 걸린 시간과 정성을 생각했을 때 하루 300원 정도의 수익을 매우 적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300원에서 그 이상의 가치를 보는 것이 바로 300원이 9만원 되는 방법이다.
흔히들 배당주에 투자해서 현금을 모으기도 한다.
그렇다면 대표적인 월배당주인 리얼티 인컴을 본다면 1주에 대략 $65 정도 한다.
리얼티 인컴을 $65에 1주를 매수한다면 매달 약 $0.25의 배당금을 준다.
간단히 생각했을 때 $65 = $0.23 이라는 계산이 된다.
그렇다면 반대로 수익형 블로그에서 하루에 $0.3 수익이 곧 $65 이상의 가치가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리얼티 인컴을 $65 내고 1주를 매수해서 얻을 수 있는 배당금을 리얼티 인컴을 매수하지 않고 $0.3을 얻었기 때문이다.
물론 현실에서는 $0.3은 $0.3이지 그 이상 가치가 되는 물건을 살 수 없지만 이러한 관점으로 보고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을 지속해서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실제로 월 200만원 또는 그 이상을 버는 수익형 블로거들도 시작할 때는 하루 몇백 원의 수익으로 시작을 했고 이를 지속적으로 했기에 상위 퍼센트로 들어갈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적은 수익을 보고 낙심을 하지 않았으면 한다.
오히려 위의 설명한 바와 같이 적은 수익 속에서 그 이상의 가치를 보며 지속적으로 패시브인컴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모두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바란다!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댓글 부탁드립니다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하고 있다면 꼭 읽으시길 바랍니다 (2) | 2023.02.02 |
---|---|
워렌 버핏 투자 원칙 / 주식 수익 내는 법 (수익 실현하기) (2) | 2021.07.31 |
UAM, 자율주행 언제 볼 수 있을까? (8) | 2021.06.15 |
구글 AI 반도체 부족 현상 해결 (10) | 2021.06.13 |
옐런의 금리인상 용인하는 듯한 발언 (4) | 2021.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