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3

실물 경제와 주식 시장은 무슨 관계? (주식 시작 전 꼭 필독!)

최근 주식 열풍이 불면서 주식하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주식 시장으로 몰려들면서 코스피는 역대 3000선을 돌파하였고 많은 기업들의 주가는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뜨거운 주식 열풍에 찬물을 끼얹듯 전문가들은 실물 경제와 주식 시장이 괴리를 지적하면 폭락이 올 것이라고 예고를 한다. 그렇다면 실물 경제와 주식 시장이 어떠한 관계가 있을까? 이들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2008년 금융 위기 사태를 먼저 알아봐야 한다. 물론 과거에 있었던 일을 바탕으로 미래에 똑같은 일이 일어날 것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큰 오류가 있겠지만 과거를 통해 향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을지 예측하는 것은 가능하다. 2008년 금융 위기가 일어나기 전에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조반니 아리기 교수..

경제 공부 2021.01.16

워런 버핏식 투자 오늘날 주식 시장에는 소용없다? (feat. 하워드 막스)

흔히 초보자는 그 분야의 최고가 되는 사람을 따라 하라는 말이 있다. 그렇다면 주식이라는 분야에서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주식투자의 대가 워런 버핏을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오크트리캐피털의 억만장자 투자자인 하워드 막스는 워런 버핏식 투자는 오늘날 주식 시장에 유효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우선적으로 여기서 말하는 워런 버핏식 투자란, 가치주와 성장주를 구분하여 투자하는 방법이다. 통상적으로 가치주는 기업의 가치에 비해 가격이 저렴 주식을 의미하며 성장주는 향후의 높은 성장 가능성을 반영해 실적 대비 가격이 비교적 높은 주식을 의미한다. 단순히 가격적인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가치주는 현재 가치에 비해 저렴하고 성장주는 현재 가치에 비해 비싸다고 볼 수 있으며 서로서로 상반되는 개념이라고 볼 수도..

경제 공부 2021.01.14

3000 돌파한 코스피 지수 상승세는 계속 이어질 것인가?

코스피 지수가 드디어 3000선을 돌파했다. 하지만 이보다 개인들에게 더 중요하게 다가오는 것은 과연 이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 것인가에 관한 이야기이다. 신문이나 뉴스에 나오는 주식 투자 전문가들은 주식 시장이 과열되었고 거품이라고 말하는 것을 흔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주식에 들어가지 않고 기다리려고 하니 주식 시장은 계속 오르기만 하는 것 같다. 그렇기에 FOMO (fear of missing out) 심리로 인해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기 전에 객관적인 자료들을 참고하며 현명한 선택을 하자. 우선적으로 SK 증권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증시 대기자금은 130조 원, 투자자 예탁금은 68조 원, CMA 잔고는 66조 원을 넘었다고 한다. 위의 차트는 국내 증시 시가총액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