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한국 주식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ETF: 엔캐리 트레이드, 일본 은행 앞으로 금리 인상?

디케이 2024. 8. 7. 14:16
반응형

 

 

장기적인 흐름으로 보았을 때 미국은 금리 인하를 하며 엔화는 다시 강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고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ETF를 꾸준히 모아가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2024년 8월 5일 전반적인 증시는 크게 빠졌고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은 큰 상승을 기록했다.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액티브(H) 주가 차트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합성H) 주가 차트

 

지난 글에서도 설명했지만, 두 ETF 모두 미국 금리 하락 시 장기채권 가격 상승에 따른 자본 차익과 엔화의 강세 전환 기대감에 따른 환차익을 추구한다. 

 

따라서 일본 인상으로 인한 엔화 강세가 전반적인 증시를 폭락으로 이끌었지만, 위의 ETF가 오히려 큰 상승을 한 것이다. 

 

지금은 엔화가 다시 "안정세"를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기에 위의 ETF가 다시 살짝 하락하는 모습이다. 

 

현시점에서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완전히 끝났는지는 알 수 없다. 

 

최근에 나온 뉴스 기사에 의하면 JP모건에서는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아직 50%만 진행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엔화 강세발 주가 하락이 아직 더 일어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 나온 기사에 의하면 일본 은행에서는 당분간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것으로 발표했다. 

 

가장 큰 이유는 일본 중앙은행이 내린 통화정책 결정이 세계 전반적인 주식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2024년 8월 5일 월요일 전 세계 증시 하락폭만 보더라도 엔캐리 청산 공포가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금리 인상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겠지만 중단기적으로는 어느 정도 그 가능성이 작다고 본다. 

 

특히 이번 미국 대선이 11월에 진행되는 만큼 일본도 어느 정도 미국 눈치를 보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한다.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 AC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현시점에서 증시가 상승 추세 또는 하락 추세라고 판단하기 매우 혼란스러운 상태이다. 

 

변동성을 알려주는 VIX지수도 상당히 높은 편이기에 섣불리 어느 포지션을 잡기에는 부담스럽다. 

 

중단기적으로 일본 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작고 엔화가 다시 약세로 들어선다면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과 ACE 미국30년엔화노출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단기적으로 2024년 8월 5일에 보여준 큰 양봉을 다시 보여줄지는 의문이다. 

 

어쩌면 두 ETF의 주가는 횡보하거나 살짝 빠질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엔화가 강세로 들어섰을 때 엔캐리 청산 공포가 증시를 큰 하락으로 빠뜨릴 위험이 있다는 것을 2024년 8월 5일 "검은 월요일"을 통해 살짝 보았다. 

 

그렇기에 이러한 위기 상황을 대비해서 노아의 방주와 같은 차원에서 포트폴리오에 어느 정도 포지션을 RISE 미국30년국채엔화노출 또는 ACE 미국3년국채엔화노출에 담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본 글은 매매의 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