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익IPS의 사업 구조를 크게 반도체, Display 및 Solar Cell 제조용 장비를 생산 및 판매로 볼 수 있다.
반도체 관련주로 원익IPS가 소개되는 점을 고려해서 "반도체 제조용 장비"를 중점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 반도체 제조용 장비
반도체 장비 산업은 반도체 소자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반도체 회로 설계, 웨이퍼의 제조, 웨이퍼의 가공, 반도체 칩의 조립, 검사 등 제반 장비를 제작하는 산업으로 볼 수 있다.
원익IPS는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기술 난이도가 높은 기판 위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장비 사업을 하고 있고 그 중 박막 형성을 위한 증착 장비와 열처리 장비를 주로 공급하고 있다.
원익IPS와 같은 반도체 장비 산업은 전방 산업인 반도체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그 둘은 유사한 경기 사이클을 보이고 있다.
유사한 경기 사이클을 보인다는 말인즉슨, 반도체 산업의 수요가 증가하면 반도체 장비 산업도 자연스럽게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처리 등에 반도체가 필수로 사용되는 만큼 원익IPS가 영위하고 있는 반도체 장비 시장 또한 중장기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 원익IPS 주요 주주 현황
원익IPS가 공시한 자료에 의하면 주요 주주 현황은 위와 같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삼성전자가 원익IPS 지분율을 상당히 가지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반도체 장비 산업은 전방 산업인 반도체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말처럼 원익IPS는 삼성전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3. 원익IPS 차트 분석
삼성전자 월봉 차트와 원익IPS 월봉 차트를 비교했을 때 차트 모습이 상당히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지 두 차트의 차이점이 있다면 원익IPS의 차트 변동성이 삼성전자보다 크다는 것이다.
물론, 삼성전자의 발행 주식 수가 많은 것이 적은 차트 변동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발행 주식 수보다 더 타당한 이유는 반도체 장비 산업의 성장 진폭이 반도체 산업의 진폭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 투자 포인트
반도체 장비 산업의 성장 진폭이 크게 반영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반도체 시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면 원익IPS와 같은 반도체 장비 산업에 투자하는 것이 삼성전자와 같은 반도체 산업보다 더 큰 수익률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주의할 점은 성장 진폭이 크다는 것은 상승할 때는 좋지만 불경기 시에는 반도체 장비 산업이 더 큰 타격을 입는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과 사이클을 충분히 인지한 후 반도체 시장을 긍정적으로 본다면 반도체 장비 산업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 투자 시 참고 자료 (2021년 7월 17일 기준)
네이버 금융에 의하면, 목표 주가를 63,111원으로 보고 있고 투자 의견을 3.89 매수를 제시하고 있다.
52주 최고는 59,300원이고 최저는 29,300원이다.
* 본 내용은 원익IPS 정기 공시 자료를 참고하였습니다
** 본 글은 매매의 권유가 아니며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댓글 부탁드립니다
'주식 >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결제 관련주 / 다날 (페이코인과 만나코퍼레이션) 주가 전망 (4) | 2021.07.27 |
---|---|
빅데이터 관련주, 4차산업 관련주 / 씨이랩 기업 분석 (2) | 2021.07.24 |
[전기차 미래의 모든 것] 적극적인 기업 투자, 2차전지 시장 전망 (8) | 2021.07.17 |
수소 에너지 관련주 / 롯데케미칼 주가 전망 (8) | 2021.07.15 |
포스코 영업이익 / POSCO 주가 전망 (11) | 2021.07.11 |